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대대포 블루
- Asahi super dry
- 선호 막걸리
- 맥북 프로 16인치 M1 pro
- 럭키팡
- 준연동형
- 스플릿 키보드 후기
- split keyboard
- 12월 가결
- 키보드 변천사
- 비례대표제 계산
- 해외맥주
- xiao yun
- QMK
- 키보드 화면
- i3wm
- 막걸리 리뷰
- DZ60
- Camera obscura #pinhole camera #room camera #방 카메라
- 맥북 프로 리뷰
- 막걸리
- 우희열 명인 한산 불소곡주
- 방송 화면에 키보드 띄우기
- Orthogonal 키보드
- 비례대표 계산 코드
- 카트라이더 매크로
- 연동형 비례대표 계산 프로그램
- 맥주 리뷰
- 맥주리뷰
- 막믈리에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73)
아 그게 뭐더라
세그먼트 트리로 중간값을 어떻게 구하지? 세그먼트 트리 두 개를 쓰는 식으로는 중간값 구하기는 어림도 없다. (윗방법) 머리를 싸맨다. 일단 input들을 정렬하는 것을 시작으로 한다. 이렇게 정렬된 모든 숫자 전체를 세그먼트 트리의 리프 노드로 두고, window에서 보고 있는 리프만 1, 그렇지 않으면 0을 리프에 준다. 그리고 위로 타고 올라갈수록 sum. 이 상태에서 중간값을 어떻게 찾지 고민하다가 답지를 폈다. (아랫방법) 알고보니 가능한 숫자 전체 범위를 세그먼트 트리 리프로 놓으면 쉽게(?) 풀린다. 지금 보니 두 개념이 상당히 비슷하다. 언젠간 숫자 범위를 int 전체 범위로 줘서 아래 방법으로는 못푸는 문제를 내야지. 그런데 애초에 윗 방법으로 하면 중간값을 찾는 방법이 애매해진다.- 인..
1. 헤드셋과 헤드폰의 차이. 헤드셋 = 헤드폰 + 마이크 헤드set이니까 마이크와 세트로 이루어진 것이 헤드셋이다. 2. 35 단자와 55단자의 차이 우측이 35 단자. 좌측이 55단자이다. 지름이 3.5mm이고, 5.5mm라서 35, 55단자라고 불린다.-인줄 알았으나 실제로는 1/8 inch와 1/4 inch 이다. (직접 재봤다) mm로 환산하면 3.175mm와 6.35mm이다. 55단자는 사람들 사이에서 총알잭이라고도 부른다. 3. 2극, 3극, 4극 단자의 차이 왼쪽부터 2극, 3극, 4극이다. (사진에서 35 단자인지 55단자인지는 무시하자) 다른 이름으로 2극은 TS, 3극은 TRS, 4극은 TRRS 라고 부른다. 끝부분부터 각 부분의 명칭을 약자화 한 것으로, T(Tip) R(Ring) ..
저번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란?' 글에 댓글로 나연누나가 공수처법을 알려달라고 해서 조금 찾아봤다. 이런건 잘 모르는데 ㅠㅠ 일단 열심히 찾아봤다. 공수처.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는 고위공직자+가족 의 직무상 범죄행위를 잡는 독립기관으로, 기소권과 수사권을 가진다. 비교 대상으로 특검과, 특별감찰관과 비교된다. 특검은 다들 알고 있듯이, 국회 과반 동의로 특정 사안에 대해 기간을 두고 반짝 수사하는 것이고, 특별감찰관은 대통령 직속으로 대통령 친인척을 감찰하는 수사권 없는(이빨없는) 제도이다. 공수처법은 2002년부터 논의(만)되었다고 한다. 정의당과 바미당에서 선거법 개정(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을 원했고, 민주당에서는 공수처법을 원했기 때문에 서로 법안을 트레이드했다는게 다수설로 보인다. 최근 바미당에서 내 ..
* 본 게시물은 공직선거법 일부개정법률안을 토대로 스스로 공부하고 해석한 것으로, 틀린 내용이 있어도 전 모릅니다. 법 전공자도 아님. 정치 핫이슈. 궁금해서 나도 찾아봤다. 발의안 원문은 여기가면 볼 수 있다. http://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S1K9I0W4H2H4C1L0X0E5G0X1P0F0J6 의안정보시스템 접수 ▶ 의안접수정보 ▶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제안이유 현행 국회의원 선거제도는 지역구국회의원 253석을 소선거구 단순다수제로 선출하고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에 따라 비례대표국회의원 47석을 독립적으로 선출하는 선거제도를 채택하고 있음. 또한, 지역구와 비례의석 비율은 5.4:1에 달해 지역구 의석이 비례의석수에 비해 높은 수..